[자투리경제=박영석 기자] 국내증시로 일본계 자금이 17개월 연속 순유입되고 있다. 유입 규모는 5.2조원으로 미국 다음으로 크다.
6일 KDB대우증권에 따르면 6월 이후 외국인은 국내 증시에서 외국인 순매도를 지속하고 있다. 특히 지난 8월 금리 인상 우려가 커지면서 외국인들은 4조 원을 순매도 했었다.
국적별로는 8월 유럽계 자금이 3.1조 원을 순매도하며 외국인 순매도를 주도했다.
조세피난처가 1.9조 원, 미국계가 5,300억 원, 중동계가 1,890억 원을 순매도했고, 반면 아시아 국가가 4,640억 원을 순매수했다.
KDB대우증권 노아람 연구원은 "2014년 6월 일본 공적연금(GPIF)이 위험자산 중심의 포트폴리오 개편을 발표한 이후 17개월 연속 일본계 자금이 국내 증시로 유입되고 있다"며 "현재까지 유입된 일본계 자금 규모는 5.2조 원으로 미국(13조 원) 다음으로 크다"고 말했다.
8월 GPIF는 처음으로 원화채권에도 8,143억 원의 대규모 자금을 투자했다. GPIF가 자국 채권 비중을 줄이고 해외 채권 비중을 늘리는 과정에서 유사한 신용등급 국가 중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한국에 투자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다른 일본의 공적연기금들 역시 GPIF의 행보를 따르고 있어 국내 증시로의 일본계 자금 유입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GPIF(일본 공적연금)의 해외주식 투자는 목표치에 근접했다. 2014년 7월 GPIF는 국내 채권 비중을 60%에서 35%로 줄이고 해외 채권 비중을 11%에서 15%로, 국내 주식 및 해외 주식비중을 각각 12%에서 25%로 늘리는 획기적인 개편안을 발표했었다.
개편안 발표 이후 현재 각 자산군들은 최종 목표 비중까지는 2~3% 정도만을 남겨두고 있다. 해외 주식 비중은 현재 22%로 목표 비중인 25%까지는 3%를 남겨둔 상황이다.
GPIF의 FY15년도의 자산 규모는 지난 3년 평균치인 7% 증가를 가정했을 때 146조 엔으로 예상된다. 현재 해외주식 비중은 현재 22%로 해외주식 타겟 비중인 25%까지는 6.4조 엔의 매수 여력이 있다.
GPIF의 해외주식 투자는 패시브가 88%, 액티브가 12%로 대부분 패시브 전략을 따르며 패시브 전략의 벤치마크 지수는 MSCI ACWI ex Japan이다. 이를 감안했을 때 한국으로 유입될 수 있는 매수 여력은 약 1조 원으로 추정된다.
GPIF는 포트폴리오 조정이 마무리 되고 있지만 다른 대형 기관들은 GPIF의 행보를 따르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일본우정(우체국) 산하의 유초은행이다. 유초은행은 다른 산하 기관인 일본 우정, 간포생명보험과 함께 11월 4일 도쿄증권거래소에 상장될 예정이다. 세 기관의 상장규모는 116억 달러이며 IPO규모로서는 지난 30년 기간 중 최대 규모이다.
유초은행의 운용자산은 현재 207조 엔이며 이 중 해외자산 투자는 46조 엔이다.
GPIF의 행보를 따라 유초은행은 채권 중심의 포트폴리오에서 벗어나 주식 등 위험자산 투자를 확대하기로 했다. 유초은행은 2017년 말까지 해외주식 및 채권투자를 30% 증가한 60조 엔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간포생명보험의 총 자산은 87조 엔이다. 간포생명보험은 채권 비중이 78%이고 해외 주식 비중은 아직 1.4%에 불과하다. 그러나 채권 비중은 점차 줄고 있고 해외주식 비중은 늘어나고 있어 GPIF의 행보를 잇는 일본 기관투자자들의 해외투자 확대로 인한 일본계 자금 유입이 기대되고 있다.
'틈새 투자-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환-상품-채권시장 리뷰]9월8일 (0) | 2015.10.08 |
---|---|
[한눈에 보는 글로벌데일리]국내외주식시장-각국 주요지표 요약 (0) | 2015.10.08 |
[돈되는 금융상품] 500만 싱글족 내 집 마련, 저렴한 '저축보험' 주목 (0) | 2015.10.05 |
[자투리경제]세법에도 공소시효가 있다고 하는데요 (0) | 2015.10.05 |
[자투리경제] 자녀의 전세 보증금 지원은 명백한 증여 (0) | 201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