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에서 경부고속도로와 천안-논산 민자고속도로를 이용해 광주까지 가는 홍길동은 서울영업소에서 고속도로 통행권을 뽑고 천안-논산 민자고속도로의 풍세영업소와 남논산영업소에서 각각 통행료를 중간 정산한 뒤 마지막으로 광주영업소에서 또 다시 통행료를 내야 했다.
그러나 오는 11일부터는 서울영업소에서 고속도로 통행권을 뽑고 최종 목적지인 광주영업소에서 한 번만 요금을 내면 된다.
앞으로 하이패스 없이도 재정고속도로(한국도로공사가 운영하는 고속도로)와 민자고속도로 통행료를 한 번에 계산할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재정과 민자고속도로를 연이어 이용할 때 중간영업소에서 정차해 정산을 해야 했다.
재정고속도로와 연계된 민자고속도로만 해당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유료도로는 해당하지 않는다.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는 오는 11일 0시부터 재정고속도로와 연결된 8개 민자고속도로에서 '무정차 통행료 시스템'(원톨링)을 시행한다.
무정차 통행료 시스템은 영상카메라를 통해 차량 이동경로를 파악해 최종 목적지에서 통행료를 일괄 수납하는 시스템이다.
이번에 새로 적용되는 고속도로는 △천안-논산 △대구-부산 △서울-춘천 △서수원-평택 △평택-시흥 △부산-울산 △수원-광명 △광주-원주 고속도로 등 8개 민자고속도로다. 통행료는 고속도로에 설치된 영상카메라로 차량의 이동 경로를 파악해 계산한다.
이용자들은 이 구간을 정차나 감속 없이 그대로 주행할 수 있다. 다만 기존 중간영업소가 완전히 철거되기 전까지는 도로 폭이 좁기 때문에 안전하게 서행(시속 30㎞)해 통과해야 한다.
국토부 측은 무정차 통행료 시스템 시행에 따라 시간 단축, 연료 절감, 온실가스 감축 등 사회적 편익이 약 93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며, 앞으로 적용노선이 확대되면 그 효과가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무정차 통행료 시스템 도입과 함께 결제시스템도 개선돼 전국 모든 민자고속도로 12곳에서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해진다.
국토부 관계자는 "무정차 통행료 시스템 시행으로 이용자들이 보다 편리하게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무정차 통행료 시스템 기술에서 더 나아가 전국 모든 고속도로에서 통행권을 뽑지 않고도 주행 중에 자동으로 통행료가 부과되는 스마트톨링(Smart Tolling)을 2020년부터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자투리경제=윤영선 SNS에디터]
출처 : 자투리경제 (http://www.jaturi.kr)
'자투리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투리경제] “자동차 할부구매 때 비교공시 사이트서 금리 비교하세요“ (0) | 2016.11.22 |
---|---|
[자투리경제] 자동차 연료를 줄이는 지혜로운 운전습관 (0) | 2016.11.17 |
[자투리경제] 김장재료, 품목별로 가장 저렴한 곳은 어디? (0) | 2016.11.07 |
[자투리경제] 싫증난 장난감 가지고 오세요…다른 장난감으로 교환해드립니다 (0) | 2016.11.04 |
[자투리경제] 서울시, 공익단체·기업에 무료광고 지원 (0) | 2016.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