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투리 경제=이현경 기자] 내년도 국내 주력산업은 기회-위험 요인의 혼재 속에 불투명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일 오후 2시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2016년 경제·산업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철강 산업은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전자·자동차·조선·건설 산업은 기대요인과 위협요인이 상존하면서 뚜렷한 회복세를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됐다.
석유화학 산업의 경우 공급과잉이 해소되는 등 업황 호조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철강 산업은 대형-중견기업 간 M&A 및 사업부문 조정, 중국발 저가 경쟁 심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전자 산업은 북미, 서유럽 등 선진시장 수요가 양호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신흥시장 침체 및 휴대폰·PC 등 주요 제품의 범용화에 따른 성장 모멘텀 부족이 위기 요인으로 지적됐다. 자동차 산업은 중국, 인도 등 이머징 시장의 수요 회복, 신차 공급 확대에 따라 업황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되나, 폭스바겐 사태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조선 산업은 선박 신규수주 둔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해양플랜트 신규 수주에서 일부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건설 산업은 상반기 내 중동지역의 저가수주 손실반영이 마무리됨에 따라 하반기부터 실적이 예상됐다.
석유화학 산업은 내년도 유가 소폭 상승에도 자국 납사 크랙커(NCC) 업체의 상대적인 원가 경쟁력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합성고무의 과잉 공급 해소가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납사 크랙커(NCC, Naptha Cracking Center)는 원유에서 나오는 납사를 원재료로 에틸렌 등을 생산하는 업체를 말한다.
박찬호 전경련 전무는 개회사에서 올해 우리경제가 메르스 영향과 수출 부진으로 어려웠다며 미국 금리인상·중국 경기 둔화의 ‘G2 리스크’로 내년도 대외환경 또한 쉽지 않을 것으로 우려했다. 3분기 성장률이 1.2%를 기록하는 등 최근 내수를 중심으로 회복의 기미를 보임에 따라 회복 모멘텀을 이어 나가기 위해 구조개혁 등 체질개선 노력과 적극적인 사업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강인수 현대경제연구원 원장은 내년도 세계경제가 3.4~3.6% 성장할 것이라며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중국 경기 둔화·금융불안이 주요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금리인상이 진행되더라도 국내 파급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한 반면 뉴노멀 시대에 진입한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가공무역 축소로 한국의 대중 수출 구조가 취약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강 원장은 기업의 핵심역량 강화, 신시장-신사업 확보가 중요하며, 세계경기 회복세 지연과 자본시장 불안 가능성에 대비할 것을 당부했다.
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국내경제와 관련해 조선업 등 기업의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며 다수 업종에서 중국의 국제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급격한 인구 고령화와 노동시장 경직성, 진입규제와 낮은 청년 고용률 등으로 저성장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성장동력 복원을 위한 정책과제로 규제개혁, 서비스 시장 개방, 노동시장 구조 개선, 부실기업 구조조정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틈새 투자-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2막-2Life]금감원에서 부채관리-노후준비 무료 상담받으세요 (0) | 2015.11.03 |
---|---|
[자투리경제] 블랙프라이데이 효과 11월에 가봐야… (0) | 2015.11.02 |
[자투리경제] 낙수효과(top-down track)와 분수효과((bottom-up track) (0) | 2015.10.31 |
[부동산 이야기] 시들해진 중대형 아파트, 수치가 말을 해주네요 (0) | 2015.10.30 |
[글로벌 화제]중국의 '1자녀 정책 폐기'에 다들 호들갑스런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요 (0) | 2015.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