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틈새 투자-재테크

가계대출 어려울수록 전세 → 월세전환 빨라진다

[자투리경제=박영석 기자] 정부는 과거 9%대에서 6%대로 증가속도가 안정화되던 가계부채가 최근 들어 증가세가 확대(‘15.3월말 1099조원)되자 ‘가계부채 종합 관리방안’을 발표했다. 작년 하반기 이후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증가폭이 늘어나고 있고, 이런 추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가계부채 종합 관리방안 요약


(1) 분할상환 등 질적구조 개선 가속화를 통해 “빚을 처음부터 나누어 갚아나가는” 구조 정착
(2) 금융회사 자율 상환능력심사 개선으로 처음부터 갚을 수 있는 만큼 대출 취급 유도
(3) 상호금융권 등 제2금융권 관리 강화
(4) 금융회사·가계 등 대응력 제고 및 모니터링 강화

이번 정책의 핵심은 대출 조건을 까다롭게 해 늘어나는 가계대출을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정책이 잘 실행된다면 자산건전성 제고와 양질의 주택수요자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다만 문제는 정책의 일관성이다. 기존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규제 완화라는 부동산 활성화 정책이었다. 하지만 이번에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부동산 투자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이 더 많다는 판단이다. 소득증빙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20~30대 젊은층과 자영업자의 주택 매매 수요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투자심리 위축에 따른 재건축 시장의 수요 역시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주요 정책의 시행이 내년 1월이기 때무에 하반기에 수요가 몰릴 가능성이 높으며 내년에는 거래절벽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실자금이 있는 실수요자 중심의 분양시장 트렌드 지속될 것이라는 판단이다.

키움증권 라진성 연구원은 "가계 대출이 힘들어지면 전세에서 월세로의 전환은 보다 빨라질 것으로 전망되고, 따라서 에스원, C&S자산관리 등 임대관리 업체의 수혜가 전망된다"며 "이런 상황에서 대형 건설사와 건자재 업체보다는 리츠, 디벨로퍼 등 부동산 비즈니스 업체(케이탑리츠, 현대산업, SK D&D, 한국토지신탁, 에머슨퍼시픽 등)들의 매력도가 상승할 가능성도 높다"고 분석했다. 대출이 힘들어지면 내년부터 일정부분 재고 주택 거래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건자재 업체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선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라 연구원은 설명했다.